전체 글 119

[국비][JAVA] 오버플로우와 언더플로우 개념 / 쉬프트 연산자

오버플로우(Overflow)언더플로우(Underflow)표현할 수 있는 최대값을 초과하는 상황표현할 수 있는 최소값보다 더 작은 값이 되는 상황정수 연산에서 최대값을 다룰 때부동 소수점 연산에서 매우 작은 수를 다룰 때∴ 값이 순환하여 음수 또는 다른 값이 됨∴ 값이 0으로 처리되거나 매우 작은 비정규화 수로 표현됨오버플로우 예시언더플로우 예시int max_int = 2147483647; // 32비트 정수 최대값 int overflowed_value = max_int + 1; // overflowed_value는 -2147483648이 됨 int minInt = Integer.MIN_VALUE; // 32비트 정수 최소값: -2147483648 int underflowedValue = minInt - ..

용어/java 2024.05.27

[국비][JAVA/JS] 자바와 자바스크립트의 차이

JAVAJavaScript타입 시스템- 정적 타입 언어- 변수 선언시 타입을 명시- 변수의 타입이 결정된 후에는 변경할 수 없음- 동적 타입 언어- 변수 선언 시 타입을 명시하지 않음- 변수 타입은 할당되는 값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사용 목적-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- 모바일 애플리케이션(특히 Android)-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등을 개발- 웹 페이지의 클라이언트 측 스크립트로 사용- HTML과 CSS와 함께 동작- 웹 페이지의 동적 기능을 구현 - Node.js를 통해 서버 측에서도 사용 가능실행 환경- Java Virtual Machine(JVM)에서 실행- 플랫폼 독립적인 언어입니다.-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- Node.js를 통해 서버 측에서도 실행가능문법과 선언- 모든 변수와 메서드는 타입 명시-..

[국비] 배열 및 반복문(for)과 이벤트 위임 결합_삭제 버튼

[문제2]- 상위 체크박스 누를 시, 전체 선택 및 해제가 가능하게 구현- 체크박스 5개중 1개 해제시, 전체 선택 해제 구현- 체크한 것만 삭제할 수 있도록 구현    script>        const checkAll = document.getElementById("checkAll");        const c1 = document.getElementsByClassName("c1");        const btn = document.getElementById("btn");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btn.addEventListener("click", function(){                let ar = [];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..

JS/[문제해결] 2024.05.26

[국비][문제] 버튼 생성 및 이벤트 위임 구현

[문제1]- div id="result" 사이에 div와 button 태그를 생성- 스크립트를 완성하세요body>    div id="result">            div>      button>CLICKbutton>    button title="btn1">BTN1button>    button title="btn2">BTN2button>    button title="btn3">BTN3button>    script>    script>body> [코드 완성 예시]더보기    script>        const clicker = document.getElementById("clicker");        clicker.addEventListener("click", function() {    ..

JS/[문제] 2024.05.26

[국비][JS_용어] getElementById, getElementsByClassName, getAttribute 구분

getElementByIdgetElementsByClassNamegetAtrribute- 특정 id를 가진 요소를 가져옴- 해당 id를 가진 요소 전체(Element) 를  반환- 특정 클래스를 가진 요소들을 배열   형태로 가져옴- 해당 클래스를 가진 모든 요소의   컬렉션(HTMLCollection) 을 반환- 특정 요소의 특정 속성 값- 속성의 값(value) 을 반환 [예시]body>    input type="checkbox" class="flag" data-del-num="item1">    input type="checkbox" class="flag" data-del-num="item2">    div id="item1">Item 1div>    div id="item2">Item 2div>..

용어/js 2024.05.25

[국비] 배열 및 반복문(for문)_체크 박스 동기화

[문제 1] - 맨 첫번째 체크 박스를 클릭하면 나머지 박스들이 모두 선택되고,  맨 첫번째 체크 박스를 해제하면 나머지 박스들이 모두 해제되게 구현 - 모두 체크된 상태에서 한 가지 체크 박스를 해제하면 맨 첫번째 체크 박스 클릭이 해제되고,  체크가 없는 상태에서 모든 체크 박스를 선택하면 맨 첫번째 체크 박스 클릭이 되도록 구현script>        const checkAll = document.getElementById("checkAll");        const box = document.getElementsByClassName("box");        //첫번째 외 체크박스 선택시 첫번째 체크박스 선택 && 외 선택 해제시 첫번쨰 체크박스 해제        for(let i=0; i  ..

JS/[문제해결] 2024.05.25

[국비] for문 활용_문자열 누적

[문제 1] - text 박스안에 출력할 list 개수 입력- 클릭시 list 개수 출력- 스크립트를 완성하세요body>    input id="input" type="text">    button onclick="addTxt()">CLICKbutton>    div>        ul id="ul">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ul>    div>    script>        const input = document.getElementById("input");        const ul = document.getElementById("ul");        function addTxt() {            let sth = input.value;            let result..

JS/[문제해결] 2024.05.25

[국비][문제] 타이머 설정, 이미지 슬라이더, 숫자 증감 및 음수 방지, 문자열 누적, 체크 박스 동기화 문제

[문제 1]- prompt에 '분', '초'를 입력받아서 원하는 시간까지 돌릴 수 있도록 설정한다.- 만약 값을 나가지 않는다면 59분 59초를 Max로 한다.- script를 완성하세요    script>        let minutes = 59;        let seconds = 59;        let myMinutes = prompt("분을 입력하세요") * 1;        let mySeconds = prompt("초를 입력하세요") * 1;     script> [코드 완성 예시]더보기body>    script>        let minutes = 59;        let seconds = 59;        let myMinutes = prompt("분을 입력하세요") * 1;..

JS/[문제] 2024.05.22

[국비][JS_용어/JAVA] 반복문 / 반복문 내 If-break & switch-break / 함수 내 return

[반복문]while 구문for 구문무한 루프, 반복을 돌릴 때 유용 횟수의 정함이 있을 때 유용  [break와 return 이해하기]반복문 내 if-break반복문 내 switch-break함수 내 function-return- break시 반복문을 빠져나감- 반복문은 구현됨 (반복문 종료가 안됨)- return시 함수를 빠져나감- 이중 for문일 경우 break가 속한   반복문만 벗어남- swtich에서 원하는 값을 출력하는 것 뿐  (swtich구문만 빠져나감)- 값 반환 가능※ for : continue는 증감식으로 이동※ while : continue는 조건식으로 이동※ 참고로 return은 반환을 의미하며, 함수 外 다른 구문에서 사용하고 싶은 것을 의미    (함수 {} 코드 안에서만 이루..

용어/js 2024.05.2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