용어/web
[국비] 메모리 용량 단위와 이진수 이해하기
줌인.
2024. 5. 20. 23:29
1. 메모리 용량 단위
크기(용어) | 특징 |
1bit | -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가장 작은 정보 단위 - 'binary digit'의 줄임말로 여기서 binary는 ‘이진수의’라는 뜻 - 이진수란 두 개의 숫자(0 또는 1)로 구성된 숫자 체계 |
⇒ 1Byte (8bit) | -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- 하나의 단위로 다루어지는 이진 문자의 집합 - 비트의 조합은 256가지가 된다. (양수 127 / 음수 127 / 0) |
⇒ 1Kb (1024 Byte) | - 데이터의 용량을 나타내는 단위 |
⇒ 1Mb (1024 Kb) | - 컴퓨터 기억 장치의 용량 측정을 위한 기본 단위 |
⇒ 1Gb (1024 Mb) | - 컴퓨터 메모리 또는 파일 크기 등을 나타낼 때 |
⇒ 1Tb (1024 Gb) | - 대용량 기억 장치의 단위를 나타낼 때 사용 - 광디스크의 기억 용량 등을 말할 때 쓰임 |
2. 이진수 : 두 개의 숫자(0 또는 1)로 구성된 숫자 체계
이진수란? |
-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고 처리하는 기본적인 방법 - 각 자릿수는 2의 거듭 제곱을 의미하며, 이를 통해 복잡한 수를 간단하게 표현 |
<이진수 표기법>
2^7(128) | 2^6(64) | 2^5(32) | 2^4(16) | 2^3(8) | 2^2(4) | 2^1(2) | 2^0(1) |
※ 1Byte > 2진의 세계 : 1byte > 2byte > 4byte > 8byte ...
Q. 만약 10을 2진수로 표기한다면?
0 | 0 | 0 | 0 | 1 | 0 | 1 | 0 |
∵ (2^1*1) + (2^3*1) = 10
Q. 10의 보수는? (음수 표현 방법)
1 | 1 | 1 | 1 | 0 | 1 | 0 | 1 |
∴ 양의 정수의 이진수 표현에서 각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하여 음수를 나타냄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