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열 선언은 아파트 부지 확보, 생성은 몇 개의 아파트를 확보할 것인지
배열의 값 할당은 부지를 참조해 실제 준공일을 기입한다. 할당 전까지는 부지 주소만 참조되어 나타난다.
[코드 읽기 전, 이해 도모를 위한 예시]
1. 배열 선언 및 초기화 == 아파트 및 부지 확보
└─ 아파트 및 부지를 확보한다는 것은 배열을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것과 유사하다.
└─ int[] apart = new int[5];에서 new int[5]는 아파트와 아파트 부지를 5곳 확보하는 것이다.
2. 값 할당 == 준공 시작일
└─ 준공 시작일은 각 '아파트 부지를 참조하여' 자재를 올리기 시작하는 날짜로 비유된다.
└─ apart[0] = 1;과 아파트에 값을 할당하는 것은 준공을 시작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.
3. 값 참조 == 아파트 주소, 준공일 조회
└─ 각 아파트의 상태 및 준공일을 확인하려면 배열의 해당 인덱스를 조회해야 한다.
└─ 예를 들어, apart[0]은 첫 번째 아파트의 상태를 나타낸다.
└─ 단, apart[0]에 준공일을 할당하지 않는다면, 아파트 부지 주소만 '참조되어' 나타난다.
↓ 구 현 ↓
[배열의 선언과 생성]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int [] students = new int[5];
students[0] = 90;
students[1] = 80;
students[2] = 70;
students[3] = 60;
students[4] = 50;
System.out.println("학생 1 점수 : " + students[0]);
System.out.println("학생 2 점수 : " + students[1]);
System.out.println("학생 3 점수 : " + students[2]);
System.out.println("학생 4 점수 : " + students[3]);
System.out.println("학생 5 점수 : " + students[4]);
}
[3가지 키워드로 요약]
1) 배열 선언 및 생성 : 메모리에 일정한 크기의 공간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든다.
ex)`int[] numbers = new int[5];` → 5개의 요소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을 생성한다.
2) 값 할당 : 배열의 각 요소에 데이터를 넣어 해당 위치에 값을 저장하며, 참조를 통해 저장한다.
ex) `numbers[0] = 42;` → 첫 번째 요소에 값 42를 할당한다.
3) 값 참조 : 배열의 특정 위치(인덱스)를 통해 해당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거나 수정한다.
ex) int x = numbers[0];` → 첫 번째 요소의 값을 변수 x에 할당하여 읽어온다.
그렇다면 배열은 왜 사용하는 것일까?
같은 타입의 변수를 반복해서 선언하고,
반복해서 사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열을 사용한다.
728x90
'Java > [inflearn] 자바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김영한_자바기본][2.기본형과 참조형] (보충) 기본형 / 참조형 - 메서드, 문제 풀이 해석 (p.11-20, p.30-34) (0) | 2024.02.02 |
---|---|
[김영한_자바입문][7. 훈련] While_if / switch구문, break / continue (p.23) (0) | 2024.01.22 |
[김영한_자바입문][7. 훈련] While_단독 if문 사용 / else 사용 로직 접근 (p.9) (0) | 2024.01.21 |
[김영한_자바입문][5. 반복문] break / continue 접근 (p.14-15) (0) | 2024.01.20 |
[김영한_자바입문][4. 함수] if / else if문 활용 문제 접근 (p.17-19, p.21) (0) | 2024.01.20 |